오늘의 주시 길라잡이입니다.

임신 지원 서비스 지원 신청을 할 수 있는 맘 편한 임신을 소개해드리고 합니다.  임신 소식을 듣게되면 기쁨과 함께 가족들의 축하인사도 많이 받게되죠. 그만큼 어려운 일이고 축복받은 일이텐데요. 임신소식과 함께 준비해야 할일들이 많습니다.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원스톱 서비스 중 맘편한 임신인데요. 임신주기별로 지원받을 수 있는 것들이 나눠져 있으니깐 임신소식과 함께 바로 신청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이 글을 읽고 있을 예비엄마들 축하드립니다.

 

https://www.gov.kr/portal/fertility.do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 원스톱 서비스 | 똑똑한 서비스 | 정부서비스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신청기한 임신확인 이후부터 분만 예정일 까지
지원내용 일반서비스 엽산제 지원, 철분제 지원, 표준모자보건수첩, 맘편한 KTX 특실 확인,
임신 출산 진료비지원(국민행복카드),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위기임신 전문상담
소득요건에
따른 서비스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 의료급여 수급자 해당
 에너지 바우처 - 의료급여 수급자, 생계급여 수급자만 해당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지원 -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생계,의료,주거,교육), 차상위계층,
                                                희귀난치성 질환, 장애인, 새터민, 미혼모 산모 등이 해당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 기준중위소득 180%이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생계,의료,주거,교육), 차상위계층이 해당

안내 서비스 출산 전후 유사산 휴가급여, 고위험 인산부 의료비 지원, 여성 장애인 교육 지원
지자체 서비스 임산부 배지, 임산부 주차증, 임신 축하선물 등  * 지자체별 제공 서비스가 다름

 

엽산제 지원 

▶ 지원대상 - 임신 3개월까지 신청 가능

 절차/방법 - 주소지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온라인 신청 x)

 구비서류 - 임신 확인서

 

철분제 지원

▶ 지원대상 - 임신 16주 이상 보건소 등록 인산부

 절차/방법 - 주소지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온라인 신청 x)

 구비서류 - 임신 확인서

 

표준 모자보건수첩 제공

▶ 지원대상 - 임산부 또는 출생 사실 확인된 영유아

 절차/방법 -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읍면동 주민센터(점자 수첩), 다문화지원센터(다국어 수첩) 방문

 구비서류 - 임신 확인서

 

 Mom 편한 - KTX 서비스

지원대상 - 코레일 멤버십에 가입하고 임산부 등록을 완료한 회원

 

                             º 행정안전부 '맘 편한 임신 온라인 통합처리 서비스'에서 등록

                             º 한국철도공사 운영 역 창구에서 등록

맘편한 KTX 절차방법및 지원내용 설명
맘편한 KTX 지원

 구비서류 - (행정안전부 원스톱 서비스 신청 시) 코레일 멤버십 회원번호 숫자 10자리

                      (한국철도공사로 신청 시) - 역 창구에서 임신 확인서 또는 임신진단서와 신분증 제시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국민행복 카드)

 지원대상 - 임신. 출산(유산. 사산 포함)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로서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을 신청

                      한 자(2세 미만 영유아의 법정대리인 포함)
                     * 제외 대상자 : (의료급여법)에 따라 의료급여를 받는 자(수급권자), 건강보험 적용 배제 신청자,

                                            건강보험 자격상실자, 급여정지자

국민행복카드 출산 진료지 지원 설명
국민행복카드 진료비 지원

 구비서류 -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급 신청서 
                       º 신청서 상의 임신·출산 확인란을 요양기관의 산부인과 전문의로부터 확인받은 후 신청
                       º 임산부의 가족이 신청하는 경우 임산부와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 : 주민등록표 등본, 가족관계 증명서 등
                       º 영유아의 법정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 영유아와 법정대리인 및 영유아와 임산부와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각각의 서류 : 주민등록표 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 온라인 신청 - https://www.bokjiro.go.kr/ssis-teu/index.do

 

teu/app/main/Main

 

www.bokjiro.go.kr

 

의료 수급자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지원대상 - 의료급여 수급자 중 임신 중이거나 출산(유산 및 사산 포함)한 수급권자 및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의 영아
                      * 2019.7.1.부터 자궁 외 임신도 포함(자궁 외 임신의 판단은 의사의 소견서로 갈음)

 지원내용 - 임신·출산 진료비 100만 원(다태아 140만 원)
                         º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진료를 용이하게 받기 어려운 지역에 계속하여 30일 이상 거주하는 경우 20만 원

                            추가 지원('16.7.1. 시행)    * '16. 7. 1 이후 임신 출산 진료비를 신청하는 경우부터 적용

                      ○ 임신·출산 진료비 추가금 지급 대상 지역
                         - 인천 : 옹진군
                         - 경기 : 양평군
                         - 강원 : 평창군, 정선군, 화천군, 인제군
                         - 충북 : 보은군, 괴산군
                         - 충남 : 청양군
                         - 전북 :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 전남 : 보성군, 장흥군, 함평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 경북 : 청도군,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봉화군, 울릉군
                         - 경남 : 의령군, 남해군, 함양군, 합천군

 

 절차/방법 - 방문

 구비서류 -  의료급여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서, 임신 증명서, 위임장

 

청소년 산모 임심, 출산 의료비 지원

 지원대상 - 만 18세 이하 산모

 지원내용 - 임신 1회당 120만 원 범위 내

 절차/방법 - ○ 요양기관에서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 및 임신확인서' 발급
                       ○ 온라인 신청(www.socialservice.or.kr) 및 사회보장 정보원 바우처 사업본부로 신청
                       ○ 전담 금융기관에서 국민행복카드를 대상자에게 개별 송부, 서비스 이용 방법 등 안내

 구비서류 - 임신확인서, 주민등록등본
 2021년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사업 신청서식. hwp

 

▶ 온라인 신청 - https://www.socialservice.or.kr:444/cmmn/index.do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신청기간 - 출산예정일 40일 이전 ~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 가능

 지원대상 - ○ 기본 지원 대상
                         -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산모 및 배우자 등 해당 가구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 사산의 경우도 지원대상에 포함

                       ○ 예외지원 대상
                          - 기본 지원 대상 소득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광역 시도지사가 별도 소득기준 등을 정하여 승인한 출산가정

 지원내용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일정 기간 출산 가정을 방문하여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의 양육 지원

 절차/방법 - ○ 신청기한 : 출산(예정) 일 전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에는 신생아의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 신청 가능
                       ○ 신청자격 : 국내에 주민등록(주민등록을 한 재외국민 포함) 또는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 가정
                       ○ 신청장소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보건소) 방문 

 구비서류 -  사회보장급여(사회서비스이용권) 신청(변경)서, 출산 또는 출산예정일 증빙자료 등 각 1부

▶ 온라인 신청 - https://www.bokjiro.go.kr/ssis-teu/index.do

 

teu/app/main/Main

 

www.bokjiro.go.kr

 

 

에너지 바우처 산업

 지원대상 - 소득 기준과 세대원 특성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세대
                       ㅇ 소득 기준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 의료" 및 "주거, 교육('22년 한시)"급여  수급자
                       ㅇ 세대원 특성 기준 : 주민등록표 상의 수급자(본인) 또는 세대원이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노인 : 주민등록기준 1957.12.31 이전 출생자
                                 - 영유아 : 주민등록기준 2016.01.01 이후 출생자
                                 - 장애인 :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
                                 - 임산부 :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
                                 - 중증질환자, 희귀 질환자, 중증 난치질환자 :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에 따른

                                    중증질환「본인 일부 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 희귀 질환, 중증 난치질환
                                - 한부모가족 : 「한부모가족 지원법」 제4조에 따른 "모" 또는 "부"로서 아동인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
                                - 소년소녀가정 : 보건복지부에서 정한 아동 분야 사업 중 소년소녀가정 지원 대상에 해당되는 사람

 지원내용 - ㅇ 세대원 수를 고려하여 세대당 금액을 차등 지급('22년 지원금액 한시적 인상)
                           - 1인 세대 : 137,200원 (여름 29,600원 + 겨울 107,600원)
                           - 2인 세대 : 189,500원 (여름 44,200원 + 겨울 145,300원)
                           - 3인 세대 : 258,900원 (여름 65,500원  + 겨울 193,400원)
                           - 4인 이상 세대 :  347,000원 (여름 93,500원 + 겨울 253,500원)

 절차/방법 - ㅇ 방문신청 :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수급자 본인 또는 대리인 신청
                       ㅇ 직권신청 : 담당 공무원이 전화 등을 통해 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직권신청 가능
                       ㅇ 온라인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online.bokjiro.go.kr)에서 신청 가능

 구비서류 - ㅇ 공통 서류
                          - 에너지이용권 발급 신청서(읍·면·동 비치)
                          - 전기요금고지서(여름 바우처)
                       ㅇ 겨울 바우처 요금 차감 신청일 경우
                          -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중 겨울철 요금이 많이 나오는 1개 에너지 요금고지서(영수증)
                             * 아파트 거주자는 관리비 고지서
                       ㅇ 대리 신청인 경 - 대상자(수급자) 위임장, 대리인의 신분증

 


임산부들을 위해 지원해주는 게 많으니깐 꼼꼼히 읽어보시고 해당하는 지원은 꼭 잊지 마시고 신청하세요. 기간이 정해져 있는 지원도 있으니깐 놓치지 마시고요. 건강한 산모, 아이 출산을 기원합니다. 가족 모두 행복하세요.

+ Recent posts